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MSCHF #21 The Office (Slack)

by itisjerry 2025. 6. 7.
반응형

The Office (Slack)
MSCHF Drop #21 (2020년 5월)

https://theofficeslack.com/

 

The Office (Slack)

Every episode of The Office recreated in Slack

theofficeslack.com

 

 

 

 

 

**“The Office (Slack)”**는 미국 NBC 시트콤 『The Office』의 전체 201개 에피소드를 업무 메신저 플랫폼 Slack 안에서 실시간으로 ‘다시 상연’한 퍼포먼스형 디지털 프로젝트다.
MSCHF는 실제 ‘Dunder Mifflin’ 회사처럼 구성된 Slack 워크스페이스를 만들고, 각 등장인물에게 개별 계정을 부여한 뒤, 실제 드라마의 대사를 Slack 메시지로 연기했다.

  • Slack 내부에는 #general, #conference_room, #pranks 등의 에피소드별, 상황별 채널이 존재
  • 각 캐릭터는 Slack 메시지, 이모지, GIF를 이용해 드라마 장면을 디지털 채팅 방식으로 재연
  • 방송처럼 에피소드는 실제 시간 기준으로 오전 9시~오후 5시 사이 전개
  • 사용자는 관람자이자 일부 채널에서는 ‘직장 동료’처럼 참여자로서 체험 가능

드라마를 시청하는 것이 아니라, 슬랙 속 회사에서 드라마 속 인물과 ‘같이 일하는 느낌’을 주는 몰입형 텍스트 연극이었다.

 

 

  • 디지털 시대의 직장 생활 풍자
    Slack이라는 툴은 원래 일하는 공간이지만, 그 안에서 ‘드라마를 연기’하게 만들며 업무 공간의 허구성디지털 소통의 연극성을 드러낸다.
  • 원격근무 시대의 새로운 시청 방식 실험
    팬데믹 이후 원격근무가 일상이 된 시대에, “TV는 거실에서 본다”는 개념을 깨고, 일하는 공간 안으로 드라마를 침투시킴으로써 콘텐츠 소비 방식의 공간적 전환을 제안한다.
  • 현대 커뮤니케이션 포맷의 재활용
    Slack이라는 실용 플랫폼이 드라마의 무대로 전환됨으로써, **현대인의 일상 언어(이모지, 줄임말, 채널 구조 등)**가 하나의 극적 장치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실험함.

 

 

  • 사용자 반응:
    수천 명의 사용자가 Slack 워크스페이스에 참여하며 에피소드를 실시간으로 관람했고, 일부 채널에서는 관객들 간 소셜 상호작용도 이루어짐.
  • 언론 보도:
    WIRED, VICE, The Verge 등에서 다루었으며, WIRED는 이를 “원격근무 시대의 새로운 시트콤 소비 방식”이라 평가.
    TechCrunch는 “Slack을 무대로 한 디지털 리얼리티 시트콤”이라는 해석을 덧붙임.
  • 지속성 및 제한:
    프로젝트는 실제 에피소드 순서에 맞춰 수개월간 진행되었으며, 종료 후에는 더 이상 참여 불가. 그러나 기록은 인터넷 문화 속에서 회자됨.
반응형